최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세계 주요국으로부터 각종 경제제재를 받으며 경제 위기를 맞았습니다. 이와 함께 MSCI 지수에서 러시아가 퇴출될 위기에 놓였다는 기사로 한창 뜨거웠었는데요.
MSCI 지수는 도대체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MSCI 지수란?
MSCI 지수(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는 JP모건 체이스, 골드만삭스와 함께 세계 3대 투자은행으로 불리는 미국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사가 작성해서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입니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투자하는 대형 펀드 특히 미국계 펀드의 95% 정도가 이 지수를 기준으로 삼을 만큼 펀드 운용에 주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최초의 국제 벤치마크(benchmark) 지수입니다.
* 벤치마크 : 기준이 되는 점, 측정기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지수, 특정 지역에 한정하는 지역 지수 등 국가, 산업, 펀드 스타일 등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지수들을 100여 개나 제시하고 있어요.
▶ 주가지수란?
일단 '주가지수'가 무엇인지 살펴봅시다. 주가지수는 증권 시장에서 형성되는 주가의 변동 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세계의 많은 기업과 주식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한눈에 알기는 불가능하기에 만들어진 게 주가지수인데요. 예들 들면 나라별 주식들의 큰 흐름을 알아보려면 나라별로 있는 주가지수를 살펴보면 되죠. 업종별·규모별로 만들어둔 다양한 지수를 통해 주가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요.
주가지수는 각국 증권 시장에 있는 주식들을 모두 묶어서 만들거나(미국의 '나스닥', 한국의 '코스피' 등) 특정 주식들을 한데 묶어서 만들게 됩니다. '대형 반도체 기업'이나 '규모로 100등 안에 드는 기업'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묶어서 만드는 거죠.
▶ 펀드의 종류
이해를 돕기 위해 펀드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해볼게요.
펀드에는 액티브펀드와 패시브펀드가 있어요.
- 액티브펀드 :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매니저들이 높은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 적극적인 운용전략을 펼치는 펀드. 적극적으로 종목을 발굴하고 편입시켜 펀드를 꾸림. 일반적으로 변동성과 리스크가 큼.
- 패시브펀드 : 특정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종목들을 펀드에 담아 그 지수 상승률만큼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펀드. 코스피 또는 코스피 200 등 주가지수의 흐름에 가까운 종목들을 선택해 운용하기 때문에 인덱스펀드라고도 불림. MSCI는 패시브펀드가 기준으로 삼는 지수로, 패시브펀드들은 MSCI 지수에 속한 국가, 개별기업들의 비중이 변하면 거기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조정함.
MSCI 지수의 종류
MSCI 지수는 국가별 주식 시장의 발전 단계에 따라 크게 선진국 지수, 신흥국 지수, 프론티어(개발도상국) 지수 등 총 3개로 나뉩니다. 이 중 한국은 신흥국 지수에 속해있어요.
- 선진국 지수 (MSCI World Index) : 미국, 유럽 등 23개국 선진국 시장 대상
- 신흥국 지수 (MSCI Emerging Markets Index) : 아시아, 중남미 등 24개국 신흥시장을 대상 (한국 포함)
- 프런티어 지수 (frontier market) : 유럽 일부 국가,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21개국을 포함
※ 독립시장 : MSCI의 선진지수, 신흥지수, 프론티어지수에 포함되지 않는 국가들.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
한국은 2009년부터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대상에 포함됐지만, 아직은 신흥시장 지수에 머물러 있습니다.
신흥지수에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 브라질, 대만, 인도, 남아프리카, 러시아, 멕시코, 이스라엘,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터키, 칠레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지수를 구성하는 국가나 종목별 비중은 정기적으로 바뀌며, 이런 국가별 지수 외에도 지역별, 업종별로 100여 개에 달하는 MSCI 지수가 존재합니다.
MSCI 지수 왜 중요한가?
MSCI 지수를 따르는 전 세계 펀드 규모만 약 3조 5000억 달러(약 420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막대한 돈이 MSCI 변동에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게 되니 엄청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건데요.
외국투자기관들은 해외 투자 시 각국별 투자 비중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MSCI 지수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특정 국가가 MSCI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 그 나라에 외국인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그만큼 커지게 되죠. 동시에 특정 종목이 MSCI 지수에 새로 추가되거나, 반대로 빠지게 되면 주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거예요.
MSCI는 매년 2월말, 5월말, 8월말, 11월말에 정기적으로 리밸런싱을 합니다. 그런데 지난 3월 MSCI 가 러시아를 신흥시장 지수에서 독립시장 지수로 하향한다고 발표했어요. MSCI 신흥지수에서 러시아는 11위로 1.4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만약 러시아가 퇴출되면 해당 지수를 따르는 펀드의 경우 러시아를 팔고 중국, 인도, 한국 등 신흥국 내에서 비중이 늘어난 국가를 추가로 사야 합니다. 따라서 해당 국가들에 추가적인 자금 유입이 예상될 수 있는 거죠.
MSCI 한국 지표
MSCI의 한국 지표에는 2021년말 기준 110개의 기업(종목)이 포함돼있습니다. 이 지표에는 조건을 충족한 기업들이 포함되게 돼요. 올초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은 당시 삼성전자에 이어 단숨에 시가총액 2위로 올라서며 MSCI 지수에 특례 편입되기도 했어요.
현재 MSCI 한국 지표에 포함된 상위 10개사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전자우, 네이버, 삼성SDI, 카카오, 현대차, LG화학, KB금융, 기아 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 부탁드립니다~
'경제에 대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유가를 대표하는 세계 3대 원유, WTI ·브렌트유·두바이유 (0) | 2022.06.15 |
---|---|
[반도체의 모든 것 2탄] 반도체 기업의 종류와 역할 알아보기 (0) | 2022.04.19 |
[반도체의 모든 것 1탄] 반도체 뜻과 종류 완벽 정리 (0) | 2022.04.18 |
댓글